신규 서버를 도입한 이후에 성능이 예전만 못하다!!
돈들여 구입했는데,, 예전만 못하다면,, 실망이 이만 저만이 아니죠..
분명히 최근에 나온 신규 서버이고,,
Intel에서 CPU의 성능이 월등히 좋아졌다고 하는데,,
2년전에 도입한 서버보다도 성능이 떨어지다니!!!

여기서 잠깐,,,
성능비교 환경을 잠깐 살펴보죠..

1. CPU
   OLD : Intel 3000-series "Conroe" 3070 (2.66GHz Dual-core, 4MB L2 Cache, 1066MHz FSB)
   NEW : Intel 5500-series "Nehalem-EP" (Gainestown) E5504 (2.0GHz Quad-core, 4MB L3 Cache)

2. Application
   User Developed MPI Program. USE 4 cores

아~~~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Dual-core <--> Quad-core
"Conroe" <--> "Nehalem-EP"
어느것 하나 떨어지는 것이 없는데,, 왜 성능이 떨어지는 것입니까????

이것이 바로 성능 비교의 오류입니다.
사용하는 application은 MPI 프로그램으로 CPU를 많이 사용합니다.
비교에 사용된 core 개수는 OLD / NEW 모두 4 core를 사용했습니다.
4 core를 사용할 경우 초당 부동소수점 연산 (FLOPS)를 이론치는,,

Rpeak (OLD) = 2.66 * 4 cores * 4 = 42.56
Rpeak (NEW) = 2.0 * 4 cores * 4 = 32

같은 core를 사용할 경우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CPU Clock 입니다.
Clock 이 낮으므로,, 신규 서버의 성능이 당연히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한 것 때문에,, 고민하는 분이,,, 앞으로는 안계시길...
tasklist


리눅스에서는 ps 명령으로 프로세스 리스트를 볼 수 있는데,,
윈도우즈에서도 cmd 창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가 있을까?
tasklist 를 사용하면 됩니다.

/FI 필터 옵션을 통해 원하는 프로세스만 잡아낼 수도 있습니다.

tasklist /fi "imagename eq outlook.exe" /m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무료 백업 솔루션 ZConverter Windows Backup  (0) 2009.09.15
서류 가방 에러  (0) 2009.09.01
Windows Command Line Scripts  (0) 2009.06.21
Remote Desktop 공유하기  (0) 2009.06.21
[WS2008] 원격 데스크톱의 변화  (0) 2009.06.21

Linux Shell Script 중 사용하면 편리한데,, 잘 생각 안나는 것들만 몇가지 정리해 봅니다.

1. find & grep
   -ls : 리스트 출력, 명령 뒤의 () 구문과 연결
   -exec : 명령 실행
   -{}; : 리스트로 대체됨. 명령문이 끝나면 ; (세미콜론)을 붙여줘야 함
find /home/test -name *.txt -ls -exec grep -i address {} \;

## Added [09/07/06]
find 를 유용하게 쓰기위해서 검색을 해보니,, 이곳에 좋은 예제가 많이 있더군요..

2. 구문 대체 (perl, sed)
   from 문자열을 to 문자열로 변경하고, 변경된 내용을 파일에 저장
   sed 에서 + 는 / 로 바꿔서 사용해도 됩니다.
   sed 에서 -i 옵션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백업 파일이 생성됩니다.
perl -pi -e 's/from/to/g' /where/your/filename
sed -ie "s+from+to+g" /where/your/filename


3. ps 명령어로 프로그램 실행 정보 확인
   wwwe : w 가 붙을 때마다 자세한 정보 표시
ps wwwe -p <pid> | grep -v COMMAND | sed 's/ /\n/g'

4. ps 명령어로 프로세스 상세 정보 확인
   www : 상세 정보 확인
   -o : output 항목 선택
   pid : Process ID
   pcpu : CPU Usage %
   pmem : Memory Usage %
   vsz : Virtual Memory Usage
   stime : Start Time
   etime : Elapsed Time
   cmd : 실행 명령어
   -p : Process ID
    pgrep your_app_name : 해당 이름을 가진 Process ID를 return
ps www -o pid,pcpu,pmem,vsz,stime,etime,cmd -p $(pgrep your_app_name)

5. seq 로 일련번호 생성
   %03g : 세자리 숫자로 맞춤
   -w 1 7 120 : 큰 숫자에 맞게 자리수를 맞추고, 가운데 숫자 만큼 증가
seq --format "node%03g" 1 10
결과 : node001 ~ node010
seq -w 1 7 120
결과 : 001, 008, 015 ~ 113, 120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DA] OS 자동설치 툴  (0) 2010.08.02
ssh 접속은 되는데, sftp 연결이 안되는 경우???  (0) 2009.11.20
Play Station 3 의 굴욕  (0) 2009.06.30
Fedora CORE 설치 중 hpet 메시지에서 멈출 때..  (1) 2009.06.25
SSH Tunneling  (1) 2009.06.21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부팅되지 않을 경우,, CD로 부팅해서 해결방법을 찾아봐야 할텐데요..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대표적인 Boot CD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1. System Rescue CD
   URL : http://www.sysresccd.org/Main_Page
   특징
   - 리눅스 기반의 boot cd입니다.
   - 무엇보다 gparted 를 사용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합니다.
   - GUI 에서 Partition Magic 과 같은 강력한 파티셔닝을 할 수 있습니다.

2. Ophcrack
   URL : http://ophcrack.sourceforge.net/
   특징
   - Windows XP, VISTA 의 패스워드를 찾아주는 Boot CD 입니다.
   - 부팅 후 모든 절차가 자동으로 진행되며, 등록된 ID, Password 가 표시됩니다.
   - VISTA 의 복잡한 password는 성공율이 떨어지더군요..
   - Password 찾아주는 프로그램 중 가장 사용이 편리하고, 성공율이 높습니다.

3. Ultimate Boot CD
   URL : http://www.ultimatebootcd.com/
   특징
   - DOS 기반의 다양한 툴들을 지원합니다.
   - 솔직히 활용도는 좀 떨어집니다.

4. Hiren's Boot CD
   URL : http://www.hiren.info/pages/bootcd
   특징
   - DOS 기반 + WinPE 기반 두가지를 제공합니다.
   - 여기에 포함된 툴들의 라이센스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 지는 군요..

5. BartPE
   URL : http://www.nu2.nu/pebuilder/
   특징
   - BartPE는 PE 를 만들 수 있는 방법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 Boot CD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BartPE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지시대로 진행해야 ISO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 Plug-in 형태로 다양한 툴을 BartPE CD에 넣을 수 있습니다.
   - Windows PE의 무료버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Boot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ZConverter] ZConverter Server Backup Enterprise HOWTO  (0) 2010.07.22

+ Recent posts